My interesting blog 2125
  • Blog
  • Blog

고등학생 유학에 대한 8가지 리소스

11/24/2021

0 Comments

 

“대한민국에서 제일 신기한 건, 한 살 차이 오빠, 언니한테도 꼭 호칭을 써야 하는 거예요. 아리프 씨가 저랑 6살 차이지만, 말레이시아에서는 이름으로 불러요. 오빠라고 부르지 않아요. 아리프, 좀 오글거려요? 방금 표정에서 느꼈어요. (웃음)”

두 해째 우리나라 유학 중인 뉴르 샤히라(세명대 전기공학과 3학년) 씨가 말했다. 같은 말레이시아 출신 아리프 씨(세명대 디자인학과 1학년)는 오빠라는 내용을 듣자 어쩔 줄 몰라 했었다. 여기서는 한국 문화를 따라야 하지 않냐는 질문에, 샤히라 씨는 아리프 씨와 둘만 있을 땐 영어나 말레이어로 대화끝낸다고 했었다. 사회자가 “결론은 오빠라 하고 싶지 않은 것”이라고 샤히라 씨의 속내를 https://en.search.wordpress.com/?src=organic&q=미국 보딩스쿨 처리하자 좌중에서 웃음이 터져 나왔다.

23일, 충청북도 제천시 세명고등학교 학술관 109호에서 ‘세명 글로컬 비상식회담’이 열렸다. 이날부터 일주일 동안 열리는 ‘제14회 인문주간’ 프로그램의 하나다. 회담에는 세명대학교에 다니는 우리나라와 중국, 우크라이나,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등 9개국 학생 10명이 모였다.

세명초등학교에는 2009년 중국인 유학생 800여 명이 입학한 것을 실시으로 유학생이 불어났다. 현재는 13개 나라 182명이 다니고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공부재단이 지필요하는 인문주간 행사를 세명대가 유치한 건 이번년도로 네 번째다. 이제까지 외국인 학생이 서서히 불어난 점을 감안해, 올해 행사에서는 2018년 종영한 프로그램 <비정상회담>을 벤치마킹해 시민과 미국유학비용 외국인 시민들이 소통하고 공감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유시민들이 한국식 위계질서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이 언급한 건 술 문화였다. 경영학과 5학년인 중국인 종샨저 씨는 “시민이 중국인보다 술을 더 많이 마신다”며 “우리나라 친구랑 놀러 갔을 때 알코올을 엄청 마시길래 ‘이처럼 마시면 괜찮아? 안 죽어?’하고 물어봤다”고 말했다. 한국인 학생과 유학생 저들 공감을 표하였다. 특출나게 우크라이나에서 와 미디어학과 1학년에 재학 중인 소피아 씨에게 우리나라식 ‘술 게임’은 충격이었다. 자리에 둘러앉은 친구들이 끝없이 ‘바니바니’를 외쳐대는 통에 술자리가 더 어지러웠다. 비정상들 가운데 가장 유창한 대한민국어를 자랑한 소피아 씨는 “하지만 술 게임 덕분에 한국말도 더 빨리 배울 수 있었다”고 말했다.

서울시민 시민들도 외국 유학을 선망된다고 전했다. 중국어와 환경공학을 전문하는 2학년 박수빈 씨는 배경 관련 영역에 심한 고등학교를 찾다 보니 우크라이나에 농업과 임업 동일한 3차 산업과 생태학을 전공으로 하는 학교가 대부분이다는 점을 알게 됐다며 우크라이나에 가고 싶다고 이야기 했다. 이에 소피아 씨는 “사람들은 잘 모르지만 우크라이나는 유럽에서 면적이 넓고, 농업 수출이 많아 유명한 나라”라며 “배경을 실험하는 학자도 대부분이다”고 말했다.

생활체육학과 3학년 임찬민 씨도 유학을 간다면 교육열이 높고 전인실습을 추구하는 중국으로 가고 싶다고 말했다. 반대로 중국에서 온 똑같은 학과 동기 진쯔청 씨는 학교에서 헬스장과 농구장, 골프장까지 자유롭게 사용해 확 만족완료한다고 이야기 했다. 그는 한국 생활에 무요건 만족완료한다고 말해 웃음을 야기했다. 대체로 중국인 사람들은 자유기한이 다수인 대한민국 대학 생활에 만족감을 보였다. 종샨저 씨는 대학 수업을 아침 1시 반에 시작하는 중국과 다르게, 한국에서는 아침 5시에 첫 수업이 시행되어 잠자는 시간이 많아져 좋다고 말했다.

유시민들은 한국의 자연풍광이 너무 좋아서 왔다거나 고국에서 한국을 접할 기회가 많아 왔다고 이야기 했다. 교환학생으로 잠시 왔다가 장학금을 받게 되면서 한국 유학길을 선택한 경우도 있었다. 허나, 한류문화가 궁금해서 충동적으로 한국에 왔다는 학생은 없었다. 전부에게는 각자 진지한 원인이 있었다.

그들의 유학생활이 순탄치만은 않다. 최고로 큰 문제는 역시 언어다. 회담 중에도 몇 유청년들은 사회자의 질문을 알아듣지 못해 전혀 다른 답을 하기도 하였다. 교수가 과제를 내줄 때도 확실한 지침을 인지하지 못해 곤혹스러워하기도 완료한다. 박수빈 씨는 “에콰도르에서 온 외국인 친구가 같은 학과에 있습니다”면서 “친구가 힘겨운 한국어를 몰라 의사소통이 괴롭다”고 털어놓았다. 이러면서 그는 한국인 학생도 전부와 다같이 테스트하는 동료가 되기 위해 노력해야 끝낸다고 이야기 했다. 박 씨는 “쉬운 한국어를 쓰려고 노력했었다. 관심사를 찾아 얘기하니 나아졌다”며 “유학생이 적응할 수 있으려면 남들을 배려하는 노력이 요구된다”고 전했다.

0 Comments



Leave a Reply.

    Archives

    November 2021

    Categories

    All

    RSS Feed

Powered by Create your own unique website with customizable templates.